우리들의 이야기/유익한 정보

친구 저서 소개,<장치훈 박사>대한민국 애국사

청석tr 2023. 4. 3. 10:12

대한민국 애국사21세기 인류역사의 기적, 태극기 애국가 나라사랑 건국역사

저자장치훈출판글로벌인성교육  |  2016.6.15.페이지수520 |

책소개

『대한민국 애국사』에서 역사 교육을 통해 후손들이 자기의 뿌리를 찾고 어른들이 일러주는 역사적 진실과 심오한 경험을 배움으로써 우리 민족과 대한민국이 나아갈 올바른 방향을 찾을 수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역사는 살아있는 양심을 가지고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처럼 있는 그대로 기록해야 후손들이 어떤 치우침 없이 객관적으로 읽고 기록해 나가도록 해야 한다고 말하는 저자는 이 책에서 대한민국의 현대사를 살아보고, 배우고, 느낀 필자의 체험을 자서전을 쓰듯 담았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저자

 

장치훈 저자 장치훈은
현, Global인성교육연구원 원장
American Liberty University Ph’D(교수 As Dean 역임)
South Baylo University MS 졸업
Shema Education Institute 졸업
성균관대, 경북사대, 공주사대부고, 공주중, 계룡초 졸업 및 수료
서울특별시공립 여의도고, 영등포고, 방송통신고 교사 역임
서울시교육청수련원 강사, 교육연구사, 세종한국학교장(CA) 역임
Life University 이사, 한민족자유협의회 민족교육위원장 역임
LA Royalphilharmonic Vice President 역임
남가주교협 36대, 37대 부회장 역임
US Hanara Forum 본부장 역임
우리민족교류협회(총재 강영훈-전 국무총리) 미주본부 사무총장 역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위원(16기, 17기) 역임
2014, 2016 민주평통 OCSD협의회(통일골든벨 역사퀴즈대회)
준비 및 출제위원장

-주요논문 및 저서
「A Study of Neuropsychiatric Medical Treatment」OMD, Ph’D
「유태인 자녀교육(토라 및 탈무드)과 몬테소리교육의 비교연구」
교육학박사과정(논제)
인성교육백강, 심신의학입문
세계최강의 성공집단 유대인의 인성교육
연재칼럼-성도의 실천교육 이야기
알란곰스의 이단판별법
미주한인교회의 현실과 전망에 대한 연구
대한민국 애국사
신앙수상집 1.알자가 없다의 비밀, 2.족탈불급의 은혜
학원문학상 시부문「시골길」
대학 백일장 수필부문「고시조와 현대시조」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목차

추천사 / 머리말 / 서문
[간추린 대한민국 현대사] 2대 유형과 적응
1 대한민국은 이승만 박사가 건국한 자유민주주의 국가이다
2 한 장으로 요약한 대한민국 현대사

제1장/ 대한민국 현대사의 올바른 인식
1 이 책은 왜 쓰고, 왜 읽어야 하나?
2 사관이란 무엇이며 왜 실증사관인가?
3 건국의 역사가 왜 중요한가?
4 대한민국의 역사적 정통성은 어디에 있나?
5 민족분단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나?
6 대한민국 자유민주와 시장경제의 기적은 어디서 왔나?
7 분단국, 휴전국, 정전국가의 과잉민주화의 문제는 무엇인가?
8 남북한의 올바른 통일방안은 무엇인가?
9 한국사교과서 좌편향문제는 무엇인가?
10 공산주의의 본질, 그 정체성·잔악성·패악성 알아보기

제2장/ 대한민국 건국
1 해방과 분단 2 소련군의 신속한 북한점령
3 해방직후의 혼란, 건준과 인공
4 신탁통치 찬반세력간의 대결
5 좌우합작 건국운동의 실패
6 좌익세력의 소요와 10월 대구폭동
7 소련의 일방적인 북한의 위성국가 만들기
8 남북문제 유엔에 상정
9 무모한 남북협상파의 건국시도
10 5·10 선거와 제헌의회 구성
11 제주 4·3 폭동과 여수순천반란사건(14연대)
12 대한민국 건국 대통령 이승만(업적과 유산)
13 대한민국 건국의 세계사적 의의

제3장/ 대한민국 호국
1 6·25동란(북한의 남침전쟁)과 남한좌익
2 대한민국 생명줄, 한미방위조약을 체결한 이승만 대통령
3 종북좌파의 6·25남침 왜곡 및 조작의 내막
4 전후 복구와 경제재건 노력
5 4·19 혁명(학생운동, 의거)
6 제2공화국 장면정권 출범과 시련
7 5·16 정변(혁명)

제4장/ 대한민국 강국
1 대한민국 제3공화국
2 대한민국 제4공화국(10월유신)
3 대한민국 제5공화국(전두환 정부)
4 대한민국 제6공화국

제5장/ 대한민국 부국
1 개발도상국의 모범이 된 한국경제
2 근대화혁명으로 세계10위권의 경제대국이 되다
3 원조 받는 나라에서 주는 나라가 되다
4 한국경제의 성장동력과 선진화의 과제

제6장/ 대한민국 망국, 북한
1 인류문명의 수치인 북한의 실체

제7장/ 대한민국 명심보국
1 대한민국 체제전복 비밀병기 ‘민주화’의 정체
2 한국 좌파의 특성과 국가 현실
3 지역갈등, 세대차이, 이념갈등의 극복
4 대한민국의 전신에 퍼진 ‘종북암’
5 대한민국의 생명줄은 ...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펼쳐보기

출판사서평

‘기억하라, 생각하라, 물으라’라는 이 세 가지 명령은 우리 후손들에게 역사 교육이 반드시 중단 없이 계승되어야만 한다는 것을 강력하게 일깨우고 있습니다.
역사 교육을 통하여 우리 후손들이 자기의 뿌리를 찾고, 부모가 설명해주고 어른들이 일러주는 역사적 진실과 심오한 경험을 배움으로써 우리 민족과 대한민국은 비로소 나라가 나아갈 올바른 방향을 찾게 될 것입니다. 정직하고 성실한 역사 교육이야 말로 만세에 빛나는 대한민국을 만드는 참된 원동력과 생명력이며, 향후 나라의 운명을 좌우하는 중차대한 과제인 것입니다.

역사 기록에 있어서 가장 주요한 것은, 과거의 역사적 사실을 실제 있었던 그대로 정확하게 기록하는 것입니다. 자신의 이념을 정당화하기 위하여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거나 날조하여 기록하는 것은 바른 역사관이 아닙니다. 특정 종교관이나 이념(이데올로기)에 매몰되어 한 부분을 너무 과장하거나 의도적으로 빼버리는 것은 바른 역사관이 아닙니다. 즉 역사는 살아있는 양심을 가지고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처럼 사실 그대로 기록해야 합니다. 대한민국의 후손들이 그 역사를 좌나 우로 치우침이 없이 객관적으로 읽고 또 기록해 나가도록 하는 것은 너무도 중요한 일입니다.
그래서 이 책은 대한민국의 격변의 현대사를 살아보고, 배우고, 느낀 필자의 체험을 이력서와 간증문을 아니, 자서전을 쓰는 심정으로 8ㆍ15 해방 70주년, 대한민국 건국 67주년에 맞추어 10년 전부터 준비하였습니다. 지난해에는 ‘애국 교과서 포럼’이라는 실천조직을 선후학 및 저명인사, 독지가 몇 분과 상의하여 추진하였습니다. 이 세대의 정체성으로 방황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새로운 확신을 가져다 줄 것이며 우리민족교류에도 이 책이 소중히 남기를 바랍니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친구 최옥선 <최옥선의 여행>